본문 바로가기
주식, ETF

성장·안정 둘 다 잡기, QQQ와 SCHD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결과

by 공돌이 카일 2025. 4. 18.
728x90

 

지난 포스트에서 미국 나스닥 인덱스를 추종하는 QQQ, 다우존스 배당성장주를 추종하는 SCHD ETF에 대해 각각 소개했었다.

 

2025.04.05 - [주식, ETF] - QQQ ETF 소개: 미국 성장주의 집합체

 

QQQ ETF 소개: 미국 성장주의 집합체

미래를 이끌어갈 기술기업에 투자한다면 어떨까? QQQ ETF는 그런 아이디어를 담은 금융상품입니다.1. QQQ ETF란 무엇인가요?"기술기업 바구니를 한 번에 담아 투자하는 방법!"QQQ ETF는 Invesco가 운용하

insight-asset-management.tistory.com

 

2025.04.05 - [주식, ETF] - SCHD 미국 배당 ETF

 

SCHD 미국 배당 ETF

미국의 대표적인 Dividend 중심 Exchange-Traded Fund(ETF) 중 하나인 SCHD ETF(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짧은 예시로 시작해보겠습니다.1.

insight-asset-management.tistory.com

 

 

오늘은 이렇게 성향이 다른 두 ETF를 조합하여 투자했을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려한다.

 

1. 두 가지 ETF, 그리고 S&P 500(VOO)와의 차이

1-1. QQQ: 기술주 중심의 성장주 ETF

  • 추종 지수: Nasdaq 100 Index
  • 특징: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구글(Alphabet), 아마존(Amazon) 등, 시가총액 상위 기술·인터넷·소비재 기업을 주로 담고 있다.
  • 투자 성향: 성장주(Growth) 위주이므로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크며, 고성장을 지속해온 시기에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1-2. SCHD: 고배당주 중심의 안정성 추구

  • 추종 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 특징: 안정적인 배당을 지속해온 우량 기업에 투자, 일정 배당 수익과 함께 중장기 성장을 노린다.
  • 투자 성향: 상대적으로 Value 스타일과 유사한 면이 있으며, 시장이 급락하는 시기에 완충 역할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

1-3. VOO: 광범위한 미국 시장 대표주자

  • 추종 지수: S&P 500 Index
  • 특징: 미국 대형주 전반을 폭넓게 편입하므로, 시장평균(Market Average)의 성격을 가장 강하게 띤다.
  • 투자 성향: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분산 효과와 적정 성장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밸런스형 지수다.

이번 분석에서는 QQQ와 SCHD를 일정 비율로 섞은 포트폴리오의 누적 자산가치, 변동성, 그리고 벤치마크로 삼은 VOO 대비 성과 차이를 살펴본다.


2. 투자 시나리오

  • 초기 투자금: 2012년에 일시금 10,000달러
  • 매달 적립식(Dollar-cost Averaging): 이후 매월 1,000달러씩 꾸준히 투입
  • 배당금은 재투자
  • 분석 대상:
    1. QQQ : SCHD를 8:2, 5:5, 2:8 등 다양한 비율로 조합
    2. 벤치마크 VOO ( S&P 500 )
  • 투자 기간: 2012년부터 최근 2025년 4월까지

위와 같은 방식을 설정한 이유는, 장기 투자에서 자주 활용되는 “초기 일시금 + 월 적립” 전략이 실제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기초 시장이 우상향한다면, 적립식 매수(Dollar-cost Averaging)는 변동성 관리 측면에서 심리적·금융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3. 이미지로 확인하기: QQQ vs. SCHD vs. VOO

 

각 조합별 투자 결과
각 조합별 연간 수익률

 

그림들을 보면, QQQ가 높은 비중인 경우, 기술주 랠리가 이어지는 구간에서 폭발적 상승세를 보이며, 결과적으로 높은 자산가치를 기록하는 시기가 많다. 그러나 주가가 급락할 때 변동폭도 크다는 점이 눈에 띈다. 반면, SCHD 비중이 높은 경우, 시장이 하락할 때 방어력이 우수한 편이며, 배당 수익을 재투자하는 형태로 안정적인 계단식 상승을 나타내곤 한다. VOO는 최하단에 위치하며, QQQ 2 SCHD 8 비율로 투자하는 경우 2022년 하락장의 예시에서와 같이, VOO보다도 적은 변동성과 높은 수익률을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조합별 배당금

위에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배당 측면에서 보면, QQQ는 대부분 기술·성장주 중심이어서 배당금 자체가 크지 않다. 반면 SCHD는 고배당 ETF답게 주가 상승에 더해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꾸준히 제공한다. 이 배당금이 재투자(Reinvestment)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 효과가 커져 투자 원금 대비 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시너지는 기술주와 배당주의 장점을 고루 취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4. QQQ와 SCHD, 각 비율 조합의 특징

4-1. QQQ : SCHD = 8:2

  • 성향: 기술주 성장 모멘텀을 크게 누리면서도, 일부는 배당주로 하방을 방어하는 포지션.
  • 결과: 전체적으로 QQQ 비중이 높아 변동성이 꽤 있을 것이나, 급락기에는 SCHD가 일부 완충 역할을 수행해준다.

4-2. QQQ : SCHD = 5:5

  • 성향: 성장과 안정성을 절반씩 섞은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 결과: 장기 우상향 시 QQQ 덕을 보면서도, 배당금 수익과 방어력도 일정 부분 확보한다.
  • 특징: 변동성이 너무 과하지 않으면서도, QQQ의 장점(성장)에 일정 부분 노출된다.

4-3. QQQ : SCHD = 2:8

  • 성향: 안정과 배당수익 중심으로, 기술주 상승장에도 어느 정도는 편승할 수 있다.
  • 결과: 하락장에는 SCHD가 전체적인 낙폭을 줄여주고, 상승장에는 QQQ 20% 비중이 추가 상승 기여를 할 수 있다.
  • 특징: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시장 수익률에 살짝 못 미치더라도 변동성을 더 줄이고 싶은 투자자에게 어울린다.

5. 적립식 투자(Dollar-cost Averaging)의 의미

위 시나리오는 2012년에 10,000달러를 한꺼번에 넣고, 이후 매달 1,000달러씩 투자하는 형태를 가정했다. 이는 적립식 특유의 장점을 극대화한다:

  • 평단( Average Cost ) 관리
    • 시장이 급락할 때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상승 전환 시 이익을 극대화한다.
    • 특히 QQQ처럼 변동성이 큰 종목의 경우, 적립식이 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 배당 재투자 + 적립식 시너지
    • SCHD는 배당수익을 재투자함으로써 복리효과가 누적된다.
    • 여기에 매월 추가 매수가 더해지면, 시장이 횡보하거나 하락 국면에서도 꾸준히 ‘매집’이 가능하다.
  • 감정적 편향( Behavioral Bias ) 완화
    • 시세가 폭등할 때 일시금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일정 금액씩 분할 매수하면 과열 국면에서도 과도한 베팅을 피할 수 있다.
    • 급락기에도 일괄 매도를 피하고 규칙적으로 매수를 지속함으로써, 장기 투자 관점에서 수익률을 방어하기 수월하다.

6. 종합 평가: 어떤 배분이 나에게 맞는가?

  • 공격적 투자자
    • QQQ 비중을 높게(예: 80% 이상) 가져가면, 기술주 랠리를 최대한 수혜 받을 수 있다.
    • 단, 하락장 변동성도 감당할 수 있는지 스스로 체크가 필요하다. 초기 투자에는 시드머니가 크지 않기에 10% 손실이 난다해도 부담이 크지 않지만, 10년, 20년 뒤 자산이 10억이상 늘게 되면, 10%만 손실이 나도 1억 손실이므로, 굉장히 큰 리스크이다.
  • 안정+배당 추구형
    • SCHD 비중을 높게(예: 50% 이상) 구성하면, 배당 재투자 효과와 방어력을 높일 수 있다.
    • QQQ가 추가 상승 모멘텀을 주는 역할을 하므로, 70:30이나 60:40 수준에서 세팅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균형형 & 시장 평균 추종
    • VOO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탄탄한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하지만 “성장 + 배당”이라는 두 가지 포인트를 모두 누리고 싶다면, QQQ와 SCHD를 5:5 정도 비율로 섞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7. 결론: 투자 성향에 따라 다른 정답

결과적으로, QQQ와 SCHD의 조합은 “기술주 중심 고성장 vs. 안정적 배당 수익”이라는 두 장점을 적절히 버무릴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변동성에 대한 내성, 목표 투자 기간, 배당 선호도 등을 고려해 각자에게 맞는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적극적 투자 성향이라면 QQQ 비중을 높이고, 보수적 성향이라면 SCHD 비중을 높이는 식이다.

그러나 이번 시뮬레이션 사례에서 보듯이, 2012년부터 긴 시간 적립식으로 투자했다면 세 상품 모두 플러스 수익을 기록했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변동성과 수익률의 균형, 그리고 배당 재투자 여부가 최종 포트폴리오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투자자는 이를 참고해 ‘어떤 비율이 내 재무목표와 성향에 맞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으면 된다.

300x250